(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마천루의 도시’ 미국 시카고의 아이콘 ‘윌리스타워'(본명칭 시어스타워·442m·108층)가 방문객 친화 시설을 대대적으로 확충한다. 13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에 따르면 시카고 최고층 윌리스타워를 공동 소유한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블랙스톤 그룹’은 총 5억 달러(약 5천500억 원)를 투입, 빌딩 남쪽 면에 5개 층이 트인(지하 2층·지상 3층) 2만8천㎡ 규모의 초대형 편의시설을 신축하고 있다. ‘카탈로그'(Catalog)로 이름 붙은 이 공간에는 만남의 장소·그룹 미팅실·엔터테인먼트·쇼핑·식당가 등이 조성되고, 신축 구조물 옥상에는 잔디공원도 만들어진다. 탁 트인 전망과 자연채광을 즐길 수 있도록 남쪽 면과 천장 일부는 유리로 설계됐다. 문의 : 셀비 시몬슨(Shelby Simonson) 에어비퀴니PR(Airbiquity PR) 1-206-264-8220 media@airbiquity.com (이스탄불·카이로=연합뉴스) 하채림 노재현 특파원 = 시리아에서 러시아 군용기가 이스라엘군의 작전 여파로 격추되는 돌발상황이 벌어져 복잡한 시리아 전선에 미칠 영향에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린다. 이번 사태로 러시아, 이스라엘의 긴장감이 고조됐지만 양국 정상이 전화통화를 하는 등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 사태가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18일(다마스쿠스 현지시간) 러시아 국방부에 따르면 시리아에서 러시아 군용기 일류신(IL)-20이 시리아 방공미사일 S-200을 맞고 격추됐다. 시리아군이 이스라엘 전투기 작전을 차단하려다 아군 군용기를 맞춘 것이다. 러시아 정부는 오발의 주체인 시리아군이 아니라 이스라엘에 모든 책임을 돌리면서, 이스라엘군의 행위를 ‘적대적 도발’로 규정했다. 더 나아가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은 “우리는 그러한 행위에 무대응으로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보복 조처를 시사했다. 러시아의 강경한 어조에 이스라엘은 이례적으로 작전의 경과를 밝히며 수습에 애쓰는 모습이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러시아 군용기 추락을 위로했다고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이스라엘 언론이 전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러시아 군인들의 사망에 슬픔을 나타내고 이번 사태의 책임이 시리아에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스라엘군은 이날 성명을 내고 러시아 군용기 승무원의 죽음에 ‘비통’함을 표현했다. 또 17일 밤 시리아 서부 라타키아에 있는 무기 제조시설이 이란의 뜻에 따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로 수송을 앞두고 있었고, 이스라엘군은 이를 저지하려고 전투기를 보내 공습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이 공습 사실과 동기를 이처럼 소상하게 공개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MEN1112/OBT357 is a monoclonal antibody targeting CD157, a myeloid marker present on leukemia cells. Menarini has partnered with Oxford BioTherapeutics to conduct the development of the compound. A comprehensive work of preclinical characterization has been already fulfilled and MEN1112/OBT357 is currently in phase I clinical trial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lapsed/refractory (R/R) Acute Myeloid Leukemia (AML). Photo – https://photos.prnasia.com/prnh/20180919/2240772-1-b Media and visitors show great interests in CETROVO’s magic window, which can transform into a touch-screen and allows passengers to perform tasks like watching videos and even paying tickets on it. 미국의 이날 메시지를 두고 자칫 남북 대화·협력의 속도가 비핵화의 진도를 훌쩍 뛰어넘을 경우 제재 이완 등으로 비핵화 동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한미간 공조에도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렸다는 해석도 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공화당 중진인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은 이날 트위터 글을 통해 “한국의 (북한) 방문이 북한 정권에 대한 최대의 압박 노력을 약화할 것으로 우려한다”며 “한국이 김정은에게 놀아나선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평양 빅딜’이 성공한다면 ‘평양 남북정상회담→유엔총회에서의 한미정상회담→2차 북미정상회담’의 선순환 구조로 연결돼 비핵화 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연내 종전선언 성사 가능성에 무게가 실릴 수 있다. 반대의 경우에는 그만큼 북미간 교착 상태가 장기화될 공산이 커질 뿐 아니라 비핵화 협상에 대한 미국의 회의론과 강경 대응론이 더욱 우세해질 수 있어 보인다. 다만 미국의 이번 메시지 발신은 협상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한 북미 간 힘겨루기 차원도 없지 않아 보인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미국 측은 일단 남북정상회담 상황을 지켜보는 신중한 스탠스를 취하면서 FFVD를 목적지로 한 대북제재의 고삐를 다잡으며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양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윗이나 기자회견 등을 통해 ‘발언 공간’이 있었지만, 남북정상회담 상황에 대해서는 언급을 내놓지 않았다. ‘슈퍼 매파’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도 ‘국가 생물방어 전략’ 정책과 관련한 언론 브리핑에서 남북정상회담 관련 질문을 받자 “우리는 어떤 종류든 간에 북한의 모든 대량파괴무기 프로그램 제거를 원해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여기에 대북 협상을 총괄해온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오는 27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 장관급 회의를 주재하기로 했다. 대북제재 이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안보리 회의를 전날 소집한데 이은 연장선으로 보인다.
심사위원상은 영국 앤 여왕 이야기 담은 ‘더 페이보리트'(로마=연합뉴스) 현윤경 특파원 =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가 제작하고, 멕시코 영화감독 알폰소 쿠아론이 감독한 영화 ‘로마'(Roma)가 제75회 베네치아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차지했다. 영화제 조직위원회는 8일 밤(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영화제 폐막식을 열고 이 같이 수상작을 발표했다. “대북제재 풀 비핵화 조치 기대했으나 실질적 내용 못 찾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바른미래당은 19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발표한 평양공동선언에 대해 “비핵화를 위한 철저한 실무협상이 돼야 할 남북정상회담이 요란한 행사밖에 보이지 않는 잔치로 변질됐다”고 비판했다. 김삼화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에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풀게 할 즉각적인 비핵화 조치를 기대했으나 합의문에서 이와 관련된 실질적인 내용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화일보 = 김정은 조속한 서울答訪 바람직하나 北核폐기 더 급하다 청와대와 장ㆍ차관 업무추진비 유용 논란 眞相 밝혀야 급기야 농민들이 10億 피해 배상 요구한 ‘洑 코드 개방’ ▲ 내일신문 = 2008년 금융위기, 그 후 10년 ▲ 헤럴드경제 = 남북경협 진전 위해서라도 비핵화 성과 도출해야 대안이 있다는데 그린벨트를 왜 해제하려는가 짐을 내려놓고 인사를 하니 반갑게 맞이한다. 캐나다 토론토 출신의 영어강사란다. 캐나다에선 나무장작을 따로 사지 않고 이런 식으로 직접 나뭇가지를 모아 해변에 불을 피운다 했다. 작은 텐트를 재빨리 세팅하니 거의 10여 분 걸렸다. 역시 아웃도어에서 경험만큼 중요한 건 없나 보다. 할 일도 딱히 없고 해서 나무 모으는 걸 도왔다. 해변에서 요리할 예정이란다. 음 캠핑을 하러 왔는데 버너가 아니라 모닥불로 요리한다? 역시 아웃도어 종주국다운 모습이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난맥상을 고발하는 현직 고위관리의 뉴욕타임스 익명 기고와 밥 우드워드의 신간 발간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의 ‘부적절한 관계’를 적나라하게 묘사한 책 내용의 일부가 공개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성 추문 상대 여성인 전직 포르노 배우 스토미 대니얼스(본명 스테파니 클리포드)가 쓴 책 ‘전면 폭로'(Full Disclosure)’의 사본을 입수했다며 관련 기사를 다뤘다. 대니얼스는 다음달 출간되는 이 책에서 그동안 언론을 통해 수차례 주장했던 2006년 트럼프 대통령과 성관계 당시 상황을 자세하고도 적나라하게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인영화계 유명인사였던 대니얼스는 당시 캘리포니아주 타호 호수 인근에서 열린 유명인사 골프 대회에 참석해 트럼프 대통령을 처음 만났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NBC방송 유명 리얼리티쇼인 ‘어프렌티스’를 진행하면서 유명세를 떨치고 있었다. 첫 만남에 대해 대니얼스는 “트럼프의 심벌인 빨간 캡 모자를 쓰고 있었다” 회고했다. 대니얼스는 이후 트럼프의 보디가드로부터 트럼프의 펜트하우스로 저녁 초대를 받았고, 이곳에서 트럼프와 성관계를 맺었다면서 당시 상황을 적나라하게 묘사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특히 대니얼스는 책에서 트럼프의 성기 특징까지 자세하게 설명한 뒤 “아마도 내가 가진 성관계 중 가장 덜 인상적인 것이었을 지도 모른다”면서 “그러나 트럼프는 명백하게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대니얼스는 또 2007년에도 트럼프와 호텔 방에 있었다고 책에 적었다. 애초 대니얼스는 트럼프 대통령과 성관계는 한 번 뿐이었다고 주장해 왔다. 당시 그는 트럼프와 한 호텔 방에 머물면서 케이블 방송에서 나오는 상어 프로그램을 시청 중이었는데, 트럼프가 당시 버락 오바마 상원의원과 민주당 대선후보를 놓고 경쟁하던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으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대니얼스는 “정말 더 말도 안되는 이야기지만, 당시 힐러리 클린턴이 전화를 했다”면서 “트럼프는 ‘우리의 계획은’이라는 말을 반복하면서 통화 내내 대선후보 경선 얘기를 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힐러리 클린턴과 통화를 하는 동안에도, 그의 관심은 TV 상어 프로그램으로 계속해서 돌아갔다”고 덧붙였다. 대니얼스는 또 2016년 공화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트럼프가 초반 돌풍을 일으킬 때만 해도 이를 믿지 못했다는 점도 털어놨다. 자신이 2006년 트럼프와 잤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전직 성인영화 동료들이 트럼프 승승장구 소식에 놀라 전화를 걸었는데 이때 “(대통령이 되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거야”라고 말하고 “그는 대통령이 되는 걸 원하지도 않았다”고 대꾸했다고 적었다. 이밖에도 대니얼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시 진행했던 유명 리얼리티쇼인 ‘어프렌티스’ 출연 약속을 지킬 것이라는 희망 때문에 (성관계 이후에도) 2007년에도 게속해서 전화 통화를 했다고 적었다. 대니얼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시 그녀가 이 프로그램에 나와 더 많은 횟수에 출연할 수 있도록 속임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안도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로 하여금 속임수를 쓰게 만들려고 했고, 그것은 100% 그의 아이디어였다”고 언급했다. 대니얼스는 이 책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 외에도 자신의 성장 과정과 포르노 영화에 출연하게 된 계기 등도 함께 적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가디언 보도와 관련, 대니얼스의 변호사인 마이클 애버내티는 트위터를 통해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점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성관계 묘사가 아니다”라면서 “권력에 대해 진실을 말하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현대 여성으로서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주장했다.
◇프랑스 언론 “문 대통령, 김 위원장에 비핵화 압박” 프랑스 공영방송인 프랑스 2 방송은 문 대통령의 평양 도착 소식을 화면과 함께 상세히 보도했다. 프랑스2 방송의 쥐스틴 야코스키 기자는 베이징발 리포트에서 “수백 명이 평화통일을 상징하는 한반도기와 꽃다발을 들고 환영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이 공항에 도착했다”면서 이번이 두 정상이 올해 얼굴을 마주하는 세 번째 회담이라고 전했다. 기자는 이어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비핵화의 길로 압박해 새로운 경제협력관계를 수립하고 평화를 정착시키려 한다”고 덧붙였다. 일간 르 몽드도 평양발 기사에서 남북 정상의 만남 소식을 상세히 보도했다.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취재 중인 르몽드의 해롤드 티보 특파원은 ‘평양 정상회담: 핵 이후를 노리는 김정은의 경제적 도박’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국제 제재 아래에서 낙후하고 고립된 북한의 경제 개발에 김정은이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고 전했다. 일간지 르 피가로도 조간신문의 1면과 2∼3면 전체를 털어 평양에서의 남북정상회담 소식을 전했다. 피가로는 ‘평양에서 두 나라가 교착상태의 타개를 모색한다’라는 기사에서 “핵 협상이 교착에 빠진 가운데 다시 한 번 통일의 희망에 숨결을 불어넣고자 김정은이 처음으로 한국의 문 대통령의 방문을 맞는다고”고 전했다. 더욱이 수술 전 대부분 진단되는 갑상선암과 달리 ‘갑상선 여포종양’은 곧바로 양성 혹은 악성을 구별할 수 없어서 의료진이나 환자에게 고민을 안겨준다. 여포종양은 현미경 검사에서 세포가 종양의 피막을 뚫고 나가는 부분이 있거나 혈관을 침범했으면 암으로, 아니면 양성종양으로 진단한다. 때문에 수술로 세포를 떼어내기 전에는 암인지 아닌지 구별하기 어려운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앞선 이씨의 사례처럼 여포종양으로 진단받았다가 수술 후 병리학적 검사에서 뒤늦게 갑상선암으로 진단되고, 전이까지 발견될 수도 있다. 전세계적으로 갑상선 결절 중 10∼20%가 암 여부를 구별하기 힘든 여포종양이고, 이 여포종양은 수술 후 약 15∼30% 정도가 암으로 최종 진단된다. 보통 초음파에서 갑상선암으로 의심되는 갑상선결절은 초음파를 보면서 세침흡인검사를 하고, 이를 통해 얻는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해 병리학적 진단을 내린다. 세침흡인검사는 갑상선결절 부위에 침을 넣어 결절의 일부만을 빼내 검사하는 방식이다. 가장 일반적인 진단 가이드라인은 6단계(진단 부적합, 양성, 이형성, 여포종양 의심, 악성 의심, 악성)로 구성된 ‘베데스다 시스템'(Bethesda System)이다. 이런 단계별 진단 지침에 따라 수술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베데스다 시스템에서 악성으로 나오면 실제 갑상선암일 확률이 매우 높은 만큼 갑상선결절을 포함한 갑상선 제거 수술을 하는 게 권고된다. 또 ‘진단 부적합’ 상태에서 초음파검사상 갑상선암 의심 소견이 동반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드시 세침흡인검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 양성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수술이 필요 없지만, 지속적인 갑상선 초음파 검사로 추적검사를 해야 한다. (서울=연합뉴스) 윤고은 기자 = 서울 종로구는 21~22일 광화문광장에서 ‘2018 종로한복축제’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전통 한복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기획된 종로한복축제는 올해로 3회째이며, 전통공연과 퍼레이드, 시민체험과 장터 등 다양한 행사로 구성된다. 광화문광장 북측광장에서는 한복뽐내기대회와 한복패션쇼, 인사동 한복 퍼레이드, 금난새와 함께하는 한복음악회 등이 펼쳐진다. 잔디마당에서는 민속 거리 공연(길놀이), 거리예술공연(토리·가야랑), 줄타기, 안동하회별신굿탈놀이, 한복놀이터, 전통마켓, 먹거리장터 등이 마련된다. 축제 양일간 밤 9시마다 피날레 프로그램으로 ‘평화와 사랑의 강강술래’가 진행된다.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 강강술래 예능보유자 김종심, 박종숙 선생을 비롯한 진도예술단의 지도하에 서울예고 무용과 학생 60여명, 시민 리더단, 현장에서 참여하는 내·외국 관람객 등이 어울려 강강술래를 추게 된다. 한복을 입지 않은 시민들도 현장에서 한복을 대여해 입을 수 있는 ‘한복체험’ 코너도 마련된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청와대, 경복궁 등 수많은 명소가 자리한 종로가 곱고 단아한 멋을 뽐내는 전통한복 알리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2018 종로한복축제’ 관련 자세한 사항은 종로구청(http://www.jongno.go.kr) 및 종로문화재단 홈페이지(http://www.jfa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축제기간 중 종로구 블로그(https://blog.naver.com/jongno0401),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welcomejongno) 등 SNS에 접속하면 실시간으로 진행하는 축제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 ▲ KT[030200]는 부산국제영화제 기간인 10월 6일 부산 해운대구 소향씨어터에서 ‘청춘기업(氣UP) 토크콘서트 #청춘해’를 개최한다. 올레tv 10주년을 기념해 올레tv 영화 소개 프로그램 ‘무비스타 소셜클럽’ MC 조우종이 진행을 맡고, 배우 진영·장동윤, 그룹 비투비가 출연한다. KT는 영화제 기간 영화의전당 비프힐에서 VR(가상현실) 콘텐츠 기업 바른손[018700]과 VR 영화 상영관도 운영한다. 지난달 KT가 주최한 VR콘텐츠 공모전 수상작 중 일부를 상영한다. (서울=연합뉴스)
황 회장은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에도 주목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 송고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정수일 한국문명교류연구소장에게 아프리카는 문명에 대한 눈을 뜨게 해준 특별한 땅이다. 중국 연변 출신인 정 소장은 1955년 중국 국비연구생 신분으로 이집트 카이로로 떠났다. 이후 모로코 주재 중국대사관에서 일했고, 튀니지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0년 이후 실크로드와 라틴아메리카 답사기를 펴낸 그가 이번에는 두툼한 책 2권으로 구성된 ‘문명의 요람 아프리카를 가다’를 출간했다. 연구소 회원들과 함께한 답사 내용을 바탕으로 오래전 추억과 문명사 지식을 버무려 서술했다. 예컨대 대학생 때 여름캠프에 참여한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과거와 현재를 논하고, 모로코 국왕 앞에서 중국어 통역을 하면서 겪은 경험을 정리했다. 정 소장은 출판사 창비가 11일 마련한 간담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프리카는 고대 문명의 요람이자 서구 식민주의자들의 능욕을 가장 많이, 가장 오래, 가장 뼈저리게 받은 곳”이라며 “아프리카를 위한 설욕은 인류를 위한 설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프리카는 대륙 전체가 식민지화한 유일한 지역”이라며 수백 년간 지속한 부조리를 파헤치고자 했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유학을 하면서 아프리카 해방 투쟁 1세대와 많이 접촉했는데, 이들의 주된 관심사가 아프리카의 미래였다”며 “아프리카에서 추진한 사회주의의 허와 실을 분석하는 것도 저술 목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본주의와 함께 양대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는 사회주의가 제3세계에서 가진 의미와 보편성을 학술적으로 연구하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에 대해 “중국이 아프리카에 주는 것은 적고 가져가는 것은 많다”며 “아프리카는 현재 중국을 상당히 경계한다”고 우려했다. Mthokozisi Mkhwanazi는 2015년 거리 한구석의 과일가게로 시작한 더반에 있는 수출 회사 Isivuno Food Company의 소유주다. 그녀에 따르면, SA 센터 덕분에 엑스포에 초대돼 둥관의 따뜻한 환영 인사를 받았으며, 아프리카의 과일이 중국으로 수출되는 경로를 이해하게 됐다고 한다. 그녀의 회사는 이제 중국시장에 깊이 의존하는 중요한 과일 수출 회사로 자리 잡았다.▲전해선 씨 별세, 배병길(금융감독원 특수은행검사국 반장)·배외수·배태순·배병용(국민은행 부장)·배병호 씨 모친상 = 19일, 대구 달서구 월배로 중앙요양병원 장례식장 201호, 발인 21일 오전 7시 ☎ 053-627-4444 (서울=연합뉴스) 송고 서양 사람들에게 한국을 소개한 푸른 눈의 이방인 중에는 스웨덴의 동물학자이자 탐험가 스텐 베리만(1895∼1975)도 있었다. 그가 주목한 것은 사람보다 한반도에 사는 야생동물이었다. 1935년 2월부터 이듬해 11월까지 한국에 머물며 수많은 동물을 잡아 스웨덴에 보냈으며 모국으로 돌아간 뒤 1938년 4월 ‘한국의 야생동물지'(In Korean Wilds & Villages)를 펴냈다. 그는 한국의 야생동물들을 처음으로 바깥세상에 알린 공로가 있긴 하나 한반도 생태계 파괴에 앞장섰다는 오명을 벗어날 수는 없다. About PULSUS Group: PULSUS Group is an internationally renowned peer-review publisher and conferences organizer operational since 1984. Headquartered at Singapore, PULSUS Group has its offices in London (UK), Ontario (Canada) and Chennai, Gurgaon, Hyderabad (India). Endorsed by the medical associations and scientific societies, PULSUS promotes peer reviewed medical journals in association with international medical associations and scientific societies. PULSUS organizes 500+ global meetings per year across the world, enables physicians and industry professionals to convene together and form conclusive strategies towards advanced therapeutics and treatment aspects. PULSUS Group strives to reach out to broad range of target groups and market leaders across diverse spectrum of research fields, providing high quality information across USA, Europe, Asia Pacific and ME. 반군그룹, 과도정부 기능·새 헌법 작성 등에 이견 (나이로비=연합뉴스) 우만권 통신원 = 남수단 반군 지도자가 최종 평화협정에 서명을 거부해 지난 5년간 이어진 내전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28일(현지시간) AFP 통신 보도에 따르면 남수단의 리크 마차르 반군 지도자는 이날 살바 키르 대통령 정부와의 최종 평화협정에 조인을 거부했다. 이번 회담을 중재한 알-디어디리 아흐메드 수단 외무장관은 기자들에게 “마차르가 이끄는 수단인민해방운동(SPLM-IO) 등 남수단 주요 야당 그룹들이 키르가 서명한 협정에 조인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관리들은 반군그룹들이 과도정부의 기능과 지방정부 수, 새 헌법 작성 등에 이견을 표출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키르 대통령과 마차르를 비롯한 반군 지도자들은 지난 수주 간 수단 수도 하르툼에서 회담하고 수년간의 내전을 끝내는 권력분점 안에 이달 초 합의한 바 있다. 반군그룹들의 평화협정 서명 거부로 그간 이번 평화 프로세스를 이끈 ‘동아프리카정부간개발기구'(IGAD)의 노력이 무위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흐메드 장관은 “협정문안은 남수단의 모든 분쟁 당사자 간 숙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마련된 것”이라며 “이들 그룹이 서명하지 않는 한 남수단에 평화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군들은 그러나 아직 해결돼야 할 쟁점들이 있는데도 중재자들이 최종 협정문안을 제시해 놀랍다며 불만을 표출했다. 이들은 또 “중재자들이 나서 모든 당사자가 이 논쟁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촉구하고 자신들은 아직 협상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아흐메드 장관은 그러나 “협정문안이 최종 협상의 결론”이라며 중재자들이 IGAD에 협정문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에 대한 논의가 언제 이루어질지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았다. 남수단은 2011년 7월 수단으로부터 마침내 독립을 이룩했지만 2013년 말 발발한 내전으로 수만 명이 숨지고 인구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400만 명이 고향을 등진 가운데 대다수 국민이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그간 수차례 맺어진 평화협정은 양측간 비난이 난무하는 가운데 번번이 파기됐다.
세계은행그룹 산하 국제금융공사 아태 인프라자원개발 국장 선임(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세계은행(WB) 산하 국제금융공사(IFC)의 고위직에 한국인이 처음으로 진출했다.(시카고=연합뉴스) 김 현 통신원 = 미국 전역에서 A형 감염이 크게 확산하고 있어 보건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11일(현지시간) 관련 보도에 따르면 웨스트 버지니아·켄터키·테네시·인디애나·미시간·유타 등 미국 곳곳에서 A형 간염 환자가 늘고 있어 각 주 보건 당국이 예방 접종을 당부하고 있다. 켄터키 주의 경우 지난 열 달간 1천600여 건이 넘는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주 당국은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인 880여 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12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제프리 하워드 켄터키 주 보건부 장관은 “이번을 계기로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은 이들까지 A형 간염의 위험성과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새삼 깨닫고 있다”며 최대 고비는 넘긴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예방 백신이 아직 없는 C형 간염에 감염된 사람이 A형 간염에 걸릴 경우, 특히 위험하다”며 예방 접종을 당부했다. 웨스트 버지니아 주에서도 지난 3월 이후 6개월간 보고된 A형 간염 감염 사례가 1천166건.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540여 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으나 2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주 당국은 연방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지원을 요청, 도움을 받고 있다. 인디애나 주에서도 450여 명이 감염돼 196명이 입원 치료를 받았나 결국 1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주 당국은 “예년 기준 A형 간염 환자는 1년에 20명 정도 발생한다”고 밝혔다. 시카고를 포함한 일리노이 주의 경우 아직 감염 환자 보고가 없으나 켄터키·인디애나·미시간 등 인접 주에서 환자가 늘자 지난 주 취약 계층을 위한 예방 접종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서비스에 나섰다. 니라브 샤 일리노이 보건부 장관은 “A형 간염 백신은 예방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며 1번 접종으로 발병을 90% 이상 막아주며. 효과는 9년 이상 간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리노이 주의 A형 간염 발생 사례는 작년 1월 이후 2천500여 건에 달하며, 환자 대부분이 주 경계 지역에서 나왔다고 부연했다. A형 간염은 간에 생기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 혹은 감염자와의 직접적 접촉 등을 통해 발생하며 증상은 피로·발열·두통·식욕 감퇴·복부 불쾌감 등에 이어 황달이 생긴다. 전문가들은 A형 간염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환경 및 위생 상태 개선과 손 씻기, 백신 접종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첫 ‘비핵화’ 육성 / 연합뉴스 ( 송고해상 적대행위 중단구역은 NLL 고려 설정된 듯…’긍정 신호’평화수역 남북 선박 한반도기 게양…’남북공동순찰대’ 운영국방부 보고서 “국내외 작전 수행 어려움 갈수록 커질 우려”(밴쿠버=연합뉴스) 조재용 통신원= 캐나다 공군의 전투기 등 각종 항공기 조종사가 적정 인력 수준에 미달, 국내외 작전 임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캐나다 통신이 18일(현지시간) 전했다. 이 통신은 국방부 내부 보고서를 인용해 공군이 조종사의 적정 인원을 1천580명으로 정하고 있으나 현재 확보·운용 중인 조종사가 이에 미달, 17% 선인 275명이 부족한 상태라고 밝혔다. 또 항법사와 기기 운용 요원, 지상 정비 인력도 적정 수준보다 부족한 것으로 공군은 판단하고 있다고 통신은 말했다. 이에 따라 공군의 국내외 각종 작전 임무 수행에 애로를 겪고 있으며 향후 20년 내 인력 부족 해소가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지적됐다. 현재 공군은 문제 해결에 최선을 기울이고 있어 작전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고 있으나 앞으로 공군 전력 운용에 압박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통신은 분석했다. 이와 관련, 에릭 케니 공군 작전국장은 “현행 작전 능력과 수행을 위해 병력 충원과 훈련, 유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그러나 향후 20년 내 우리에 필요한 수준으로 병력을 완비하는 일이 큰 도전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캐나다 공군은 이라크, 라트비아, 말리, 우크라이나 등 해외 작전 임무에 투입돼 있으며 특히 루마니아에는 CF-18 전투기가 배치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공군 인력 부족 사태는 현지에서 활동 중인 각종 항공기 운용에 애로를 초래한다고 통신은 설명했다. 또 국내의 정찰·구조 임무와 북미 방공 작전에도 지장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케니 국장은 앞으로 공군에는 새로운 전력으로 드론이나 신형 전투기 등 신종 항공기가 계속 도입될 예정으로 이를 위한 운용·유지 인력 수요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군은 전력 유지 대책으로 기존 인력에 대한 세금 경감이나 가족을 위한 근무 조건의 지원 및 혜택 등을 제공하는 한편 고령 인력의 재충원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러나 현재 공군이 배출하는 신규 조종사가 매년 115명에 이르지만 최근 들어 민간 항공사로 이직하는 조종사들이 늘어나는 등 인력 수급에 애로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오는 2021년까지 새로운 인력 수급 체계를 갖출 계획이지만 4~8년에 이르는 조종사 양성 기간 등을 고려하면 상당 기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58만㎡에 가족공원, 뷰티·메디컬센터, 복합엔터테인먼트 등 조성(청주=연합뉴스) 변우열 기자 = 개발계획 수립 후 20년째 답보상태에 있던 청주 밀레니엄타운 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우리나라 예비군 전력의 콘트롤타워 격인 육군동원전력사령부가 우여곡절 끝에 닻을 올렸다. 지난 6일 경기도 용인의 제3야전군사령부에서 창설된 동원전력사령부에는 기존 육군 전방군단 예하 5개 동원사단과 제2작전사령부 예하 향토사단들의 동원지원단이 배속된다. 육군은 동원전력사령부가 창설되면 동원사단과 동원지원단을 단일 지휘체계로 묶어 지휘 효율성이 높아지고 전방군단과 지역방위사단의 지휘부담 감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아울러 동원계획 통합, 정예자원 우선 지정·관리, 예비전력 예산 집중 운용, 예비역 간부 활용 등 동원 실효성도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런 기대감과 함께 275만 예비군 전력을 유사시 상비전력과 유사한 전투력을 발휘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막중한 책임과 임무를 수행해야 할 동원전력사령부의 앞날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공룡 같은 조직을 표범처럼 날쌘 군대로 만들겠다’는 송영무 국방장관의 지휘방침에 부합하도록 사령부가 그 역할을 해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잘못하다간 ‘옥상옥’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동원전력사령부는 지난해 10월 1일 국군의 날에 맞춰 창설될 예정이었으나, 송 장관이 부임하면서 창설식을 불과 10여 일을 앞두고 전격 중지됐었다. ‘육군동원전력사령부령’의 입법화 작업까지 마친 상태에서 중지된 배경을 놓고 다양한 관측이 나왔지만, 전체적으로 육군조직을 ‘슬림화’하는 차원에서 재검토해 보자는 송 장관의 의지 때문이라는 것이 정설이었다. 군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당시 송 장관이 육군인사사령부의 실정을 사례로 들었다는 얘기도 돌았다. 중장이 지휘하는 ‘거대 조직’인 인사사령부가 육군본부에 별도로 창설했지만, 군 인사 시스템에 대한 잡음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데 왜 이런 지적들이 나오는지 되짚어보아야 한다는 목소리에 송 장관이 귀를 기울였다는 것이다. 군 조직 가운데 또 다른 옥상옥이란 비판이 나오지 않도록 고민해보자는 취지에서 중지했다고 하지만 어찌 됐건 예비전력의 콘트롤타워는 출범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인간의 판다 사랑은 식을 줄을 몰랐다. 판다가 있는 곳에 “판다 열풍”이 있다. 매우 사랑스러운 외모와 궁극적으로 “귀여운 행동”을 타고난 판다는 수많은 추종자를 낳았으며, 중국과 외국 간의 교류에서 “우정 대사”로 등극했다. 이는 판다가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상징으로 전면에 나서는 데 일조했으며, ‘평화와 우호를 사랑하며, 개방과 포용성을 수용하는 나라’라는 중국 이미지를 제시했다. 로스앤젤레스오토쇼와 오토모빌리티LA 1907년에 시작된 로스앤젤레스오토쇼(LA오토쇼(R))는 매년 열리는 오토쇼 중 북미에서 가장 먼저 열리는 주요 오토쇼이다. 2016년에는 동 쇼의 프레스앤드트레이드데이즈가 커넥티드 카 엑스포(CCE)에 통합되어 새로운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고 운송과 모빌리티의 미래에 관한 가장 중요한 이슈를 토론하기 위해 기술과 자동차 산업이 융합하는 업계 최초의 산업 전시회인 오토모빌리티LA™가 되었다. 오토모빌리티LA 2018은 11월 26~29일 사이에 로스앤젤레스컨벤션센터에서 열리며 제조사들의 신차도 여기에서 발표된다. LA오토쇼 2018에 대한 일반인 공개는 11월 30일 -12월 9일이다. 오토모빌리티LA에서는 새로운 자동차 비즈니스가 만들어지고, 획기적인 제품이 선보이며, 전 세계 언론사와 업계 전문가들 앞에서 전략이 발표된다. LA오토쇼는 전L.A. 신차딜러협회가 후원하며 ANSA프로덕션즈가 진행을 맡는다. 오토쇼 관련 최신 뉴스와 정보를 받아 보려면 트위터에서 AutoMobility LA를 팔로우하기 바란다. 지난 패널, 인터뷰와 기조연설은 오토모빌리티LA의 새로운 팟캐스트 https://automobilityla.com/podcast/에서 들을 수 있다. 중국 전기자동차 산업은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으므로 앞날이 매우 밝다. 소비재는 중국의 정치적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됐다고 닉 버틀러는 지적했다. 중국 정부는 자국민에게 민주주의나 언론의 자유를 약속하는 대신 주거환경 개선, 자동차를 비롯한 소비재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더 나은 생활 수준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중국이 경제발전을 하면서 자동차 소유의 붐이 일고 있으며, 중산층도 자동차를 소유하게 됐다. 송고”숨졌을 가능성 99%” 절망 속에도 자원봉사자들, ‘맨손 투혼’ (하노이=연합뉴스) 민영규 특파원 = 지난 15일 강타한 슈퍼 태풍 ‘망쿳’으로 지금까지 최소 66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된 필리핀에서 산사태로 합숙소에 매몰된 60명가량의 광부와 가족을 구조하는 작업이 3일째 이어졌다. 18일 ABS-CBN 방송 등 현지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이번 태풍으로 인한 사망자는 최소 66명으로 집계됐다. 또 필리핀 북부 벵게트 주 이토곤시에 있는 한 광부 합숙소에 광부와 다수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등 60명가량이 산사태로 매몰돼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울산=연합뉴스) 장영은 기자 = 울산시가 송철호 시장 출장마사지 공약인 가칭 울산국제환경영화제 추진 계획과 관련해 앞으로 미세먼지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문제를 영화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울산시는 송고 (SINGAPORE and LONDON, Sept. 19, 2018 PRNewswire=연합뉴스) In a humanitarian effort, PULSUS Group – in collaboration with Anbu Kochi – is responding to the calamity of the recent, unprecedented floods in the Indian state of Kerala by providing contributions to aid relief and rehabilitation measures. PULSUS Group took initiative to extend a helping hand in donating clothes, food items, medicines, sanitation, hygiene products including edibles (baby food, ORS packets/electrolytes, rusk, biscuits), and non-edibles (anti-septic lotion, bleaching powder/lime powder, baby diapers, adult diapers, sanitary napkins, toothpaste, tooth brushes, body soap, washing soap, clothes old/new, water cans, candles and match boxes). PULSUS Group and Anbu Kochi are collecting daily essentials and other relief materials to help Kerala flood victims. PULSUS Group and Anbu Kochi stand for Kerala in helping the flood victims with necessities and donations.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이어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안보 환경이 화해 무드로 급변할 조짐을 보이자 군이 그간 설계해 놓은 군사력 건설 방향을 고칠지, 아니면 그대로 밀고 나갈지 고민에 빠졌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라는 대타협을 이룰 경우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대응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우리 군의 ‘3축체계’의 대폭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방부가 애초 완성된 ‘국방개혁2.0안’을 11일 청와대에 보고해 재가를 받을 계획이었으나, 토론식의 보고로 방향을 튼 것도 이런 고민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변화 조짐이 있는 남북관계를 반영해 국방부가 수립한 개혁안이 수정될 여지를 고려한 것이다. ‘국방개혁2.0안’에 포함된 ‘공세적 작전개념 수립’을 비롯한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킬체인(Kill Chain)·대량응징보복(KMPR)을 통틀어 지칭하는 ‘3축체계’ 또는 ‘3K체계’ 분야에서 토론이 집중될 전망이다. 공세적 작전개념 수립이나 3축체계 모두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겨냥한 우리 군의 새로운 군사력 건설 방향이었다. 송영무 국방장관이 부임 직후 들고나온 공세적 작전개념은 유사시 최단 시간 내 최소 희생으로 전쟁을 종결한다는 방향에서 만들어지고 있다. 북한이 가질 수 없는 첨단 전력을 확보해 북한이 최소 한 달 이상 전쟁을 지속할 수 없을 정도의 새로운 작전개념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송 장관은 작년 12월 8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격려 오찬에서 “한국형 3축 체계를 조기에 구축하고 유사시 최단 시간 내 최소 희생으로 전쟁을 종결할 수 있는 새로운 작전수행 개념을 발전시키겠다”고 보고한 바 있다. 올해 들어 북한이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한반도 안보 국면이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자 송 장관은 공개적으로 공세적 작전개념을 거론하지 않고 있다. 군내에서는 이 작전개념 수립 작업이 보류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KAMD는 북한이 보유한 2천여 기의 각종 미사일과 새로 개발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을 발사했을 때 탐지, 추적해 요격하는 작전개념이다. 지상의 패트리엇(PAC-2·PAC-3) 미사일과 중거리 대공유도무기(철매-2)를 비롯한 이지스 구축함의 대공미사일(SM-2), 앞으로 개발할 장거리 지대공유도무기(L-SAM) 등으로 구성된다. PAC-3는 하층방어체계를 담당하는 미사일로 마하 3.5~5의 속도로 고도 30㎞에서 ‘직접 타격(hit-to-kill)’이 가능하다. 명중률 90%로 공중에서 요격된 미사일로 인한 파편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철매-2는 올해부터 실전에 배치될 예정이다. 또 L-SAM은 현재 탐색개발에 들어갔다. 철매-2보다 사거리가 4배가량 늘어난 10여 발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총사업비는 9천700억원에 이른다. 경기도 오산에 구축된 탄도유도탄 작전통제소(AMD-cell)와 주한미군의 패트리엇 요격체계 통제소(TMD-cell)를 연결해 유사시 주한미군 전력도 가세한다. 현재 주한미군 제35 방공포여단에는 PAC-2, PAC-3 미사일을 갖춘 패트리엇 2개 대대가 배치되어 있다. 킬체인은 북한의 미사일을 탐지 추적하는 작전개념이다.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와 오는 2023년까지 5기를 확보할 군 정찰위성이 이 개념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전력이다. 2023년까지 킬체인과 KAMD 구축을 위한 예산만 16조5천억원이 필요하다.
About First REIT First REIT is a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listed on the Main Board of the SGX-ST since 2006. It is a healthcare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which invests in a diversified portfolio of income-producing real estate and/or real estate-related assets in Asia that are primarily used for healthcare and/or healthcare related purposes. As at the date of this announcement, based on public information, First REIT has 20 properties comprising 16 located in Indonesia, three in Singapore and one in South Korea.애플 아이폰 가격 20% 상승할 것으로 예상(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미국의 고액 관세를 회피하고자 세계 최대 전자기기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Foxconn·훙하이정밀)이 미국에 애플의 아이폰 조립공장 2곳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고 대만 자유시보가 12일 보도했다.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 기록이 적기 때문이다. 여성독립운동에 대한 인식 자체를 바꾸어야 한다. 독립운동과 관련돼 활동했으나 이름을 남기지 못한 여성들을 따로 평가해야 하지 않을까. 대표적인 경우가 독립운동가의 부인들이다. 특히 해외에 망명한 독립운동가들의 경우 부인의 도움이 없었으면 독립운동을 할 수 없었다. 독립운동하는 남편의 뒷바라지 자체가 독립운동의 성격을 가진다.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선생의 손부 허은의 구술 회고록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 소리가’를 보면 밖에서 독립운동하다가 동료들과 집에 들어온 시할아버지의 식사를 차리는 모습이 나온다. 이들의 끼니를 해결하고 수발을 드는 것은 전적으로 부인, 딸, 며느리, 손주며느리들의 몫이었다. 국내에서 활동한 경우 가장 중요한 포상기준이 옥고이다.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옥고가 적다. 여성이라고 봐준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경찰에 잡혀가도 기소가 안 되고 풀려나는 경우가 많았다. 기록에 남아있는 여성 한국광복군의 수는 10명 남짓인데 실제로는 더 많은 여성이 해외에서 무장투쟁에 뛰어들었다. 광복군이나 조선의용군의 남아있는 사진에는 군복 입은 여성들의 모습이 많이 눈에 띈다. (홍콩=연합뉴스) 안승섭 특파원 = 미국 내 위구르인들이 중국 신장(新疆) 웨이우얼 자치구 내 위구르족 이슬람교도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탄압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송고(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터키 이스탄불에서 15일(현지시간) 열악한 노동 환경에 항의하는 시위에 참가했던 노동자 수백 명이 경찰에 검거됐다고 현지 노조 관계자를 인용해 AP·리아노보스티 통신 등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500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이날 이스탄불의 신공항 건설 공사 현장 숙소에서 체포됐다고 터키 진보노조연합 회장이 전했다. 체포된 노동자들은 이스탄불의 여러 경찰서로 분산 수용돼 조사를 받고 있다고 회장은 전했다. 현지 언론은 경찰이 전날 현장 안전 조치 강화 등의 노동 환경 개선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노동자들을 해산하기 위해 최루가스와 물대포를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공항 건설 공사에는 모두 3만5천 명의 노동자와 5천 명의 기술자들이 투입됐으며 그 가운데 이미 약 1천 명의 노동자가 심각한 상처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주요 건설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인 이스탄불 신공항은 다음 달 29일 문을 열 예정이다. 중국 고위 관리들도 자국의 부상을 억제하기 위한 미국의 압박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로 급선회할 가능성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팡싱하이(方星海) 중국 증권관리감독위원회 부주임은 송고 (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쿠데타를 일으켜 송고군부 통치 맹비난…反군부 정당간 연대 논의도 지지강동경희대한방병원, 논문 27편 메타분석…”비만 초기에 해야 효과”(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살을 빼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손쉬운 방법을 찾는 건 인지상정이다. 그래서인지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치료법 중 하나가 침술이다. 덩달아 포털사이트에는 간단한 침술로 살을 뺄 수 있다는 광고가 넘쳐난다. 하지만 침술의 비만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반신반의하는 사람들이 많다. 더욱이 실제 침 치료를 받은 사람들 사이에서조차 그 효과는 일정하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그동안 침술의 비만 치료 효과를 다룬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논문이 나와 눈길을 끈다. 15일 국제학술지 ‘비만 리뷰'(Obesity Reviews) 최신호에 따르면 강동경희대 한방병원 진단·생기능의학과 박영재 교수팀은 전세계에서 비만 관련 침 치료 효과를 다룬 연구논문 27편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메타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메타분석이란 동일한 주제에 대해 그동안 발표됐던 양질의 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계량적으로 제시하는 연구방법을 말한다.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목요일인 송고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목요일인 송고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목요일인 송고 남북이 언론 교류를 하려면 취재 원칙과 분야에 대한 합의가 선행돼 보도다운 보도가 가능해야 한다. 그러려면 전제가 있다. 남북 언론이 냉전적 사고에서 벗어나 평화와 통일을 지향해야 한다. 상대 체제를 깎아내리고 부정적 측면만 부각하려 든다면 한반도 평화는 먼 신기루다. 분단 후 70년 이상 흘렀다. 그동안 언론은 평화와 통일의 여건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나. 한국 언론은 남북 사이에 화해, 신뢰, 협력을 끌어내기보다 불신과 대결을 조장하지는 않았나. 불신이 불신을 낳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뢰는 신뢰를 낳는다. 북한 관련 보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언론의 자의적 편집이 끼어들었다면 영화보다 더 영화 같았던 벤치 회담의 감동이 전해질 수 있었을까.◇ 제천·KAL컵 남자프로배구대회 B조 조별리그 3차전(14일·제천실내체육관) 삼성화재(2승 1패) 29 25 25 – 3 JT(3패) 27 23 22 – 0 (서울=연합뉴스) 송고 ◇ 간 이식 성적 세계 최고지만 간경화 예방이 최선 간 이식 수술은 ‘한 편의 드라마’라고 말할 만큼 훈훈한 미담이 많다. 군 복무 중인 아들이 부모님에게 간을 기증하거나 이웃사촌끼리 서로 간을 제공해 수술을 받기도 한다. 사실 10여년 전만 해도 이런 간 이식은 고난도인 데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술 전후 관리까지 어려워 성공률이 높지 않았다. 이런 인식 때문에 아직도 이식이 필요한 상황에서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환자가 많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더 고통스럽게 죽을까 봐, 간을 기증하는 사람의 건강에 문제가 생길까 봐 등이 대표적인 고민이다. 물론 지금도 간 이식 수술은 간 내부 혈관구조가 아주 복잡한 특성 때문에 고난도 수술로 손꼽힌다. 하지만 지금은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환자의 상태가 양호하면 생체 간 이식 수술도 대부분 6∼7시간 이내로 끝난다. 또 배꼽 부위에 1∼2㎝ 정도의 작은 구멍 한 개만을 뚫어 수술하는 ‘단일통로복강경(싱글포트)’ 수술은 상처가 작아 개복수술보다 회복속도가 월등히 빠르다. 수술 후 후유증이 현저히 감소하고, 입원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이 수술을 적용할 수 있는 환자들이 제한적이지만, 단일통로 복강경 간절제 수술 후 3년 생존율은 90% 이상에 달한다. 전체 간 이식 수술 성공률로 보면 한국이 90% 수준으로, 미국(85%)보다도 높다. 다만 간 이식을 받은 환자는 면역억제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한다. 간 이식 후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요인이 많아서 정기적인 검사도 필요하다. 특별히 가릴 음식은 없으나 단백질이 많은 게 좋다. 또 감염 예방을 위해 이식 후 첫 3개월 동안은 과일 야채도 삶아서 먹는 등 날음식을 피하는 게 바람직하다. 치료 중 음주·흡연을 하거나, 건강을 되찾았다고 술과 담배에 다시 빠져들어서도 안 된다. 간에 좋다는 엑기스류도 멀리해야 한다. 평소 먹어보지 않았던 것이라면 더욱 위험하다. 무엇보다 건강할 때 간경화가 생길 수 있는 요인을 막는 게 중요하다. 간염의 예방접종 및 치료와 더불어 비정상적인 성생활, 과음과 흡연, 약물 복용, 과로 등을 피해야 한다.”한반도 비핵화 가장 중요한 이슈…김정은, 순안공항 영접 나올 듯””평양 남북정상회담 최초 생중계…합의안 도출 주목” 송고재취업 지원 프로그램 참관 등 일자리 문제도 점검(군산=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고용·산업 위기지역인 군산을 찾아 경제 상황을 점검한다. 송고2007년 환경 분야 4개 사업 합의했지만 남북관계 악화로 ‘스톱’…재개 기대”환경 회복 후 남북 공동 관리해야”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이 비핵화 관련 합의를 한 가운데, 관심은 합의문(평양 공동선언)에 담긴 내용 외에 ‘플러스알파’가 있을지에 집중될 전망이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전해 달라며 문재인 대통령에게 부탁한 추가적인 비핵화 관련 ‘약속’ 등이 있을지 주목된다. 18∼19일 이틀간 2차례 걸쳐 185분간 진행된 정상회담 등에서 김 위원장은 합의문에 담긴 내용 이상으로 비핵화와 그 상응조치에 대해 언급했을 것으로 보여 오는 2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릴 한미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전달할 김 위원장의 메시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공동선언에 포함된 구체적 비핵화 관련 합의는 “유관국 전문가들 참관 하의 동창리 엔진시험장 및 미사일발사대 영구 폐기”와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용의”다. 후자에는 “미국이 6·12 북미 공동성명의 정신에 따라 상응 조치를 취하면”이라는 단서가 붙었다. 7월 이후 강하게 요구해온 한국전쟁 종전선언이 이뤄질 경우 영변 원자로와 재처리시설, 우라늄농축시설 등 핵시설의 영구 폐기에 나설 수 있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해석됐다. 문제는 이 같은 비핵화 조치가 제2차 북미정상회담 또는 취소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방북 등 북미대화의 재개로 연결될 수 있을지다. 문 대통령도 18일 평양으로 떠나기에 앞서 “이번 방북으로 북미대화가 재개되기만 한다면 그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며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유도해 북미대화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음을 시사했다.
Leave a Reply